호모소셜의 발견 - 세지윅의 퀴어 이론 앞에서 본 것과 같은 레즈비언과 게이에 관한 일련의 연구는 아직 새로운 것이고 섹슈얼리티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면도 있고 하여 일괄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단, 연구자들에게 공유되는 지점이란 섹슈얼리티라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와 사회 속에서 말(언어)이라는 것이 (보다 정확히는 푸코가 말하는 '담론이) 우리들을 세뇌하여 그것을 '자연'적이라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성립하고 있다는 인식이다. 그러한 이해는 성의 문제와 문학의 관계를 끝없이 접근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러한 흐름 속에서 남성 동성애에 대한 일반이론(의 모형)을 문학작품의 독해를 통하여 제시한 것이 세지윅의 퀴어 이론이었다. 그것은 페미니즘의 문제였던 '여자의 교환'을 고쳐 읽는 ..
게이-레즈비언 연구의 진전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에서 시작하여 퀴어 이론이라는 이름이 성립하기까지의 과정에서 크게 공헌한 연구성과는 주로 80년대에 나왔다. 게이-레즈비언 비평이나 섹슈얼리티 연구라고도 불리는 연구가 화려한 성과를 내어 퀴어 이론이 성립할 수 있는 바탕을 정리한 것이다. 현재 퀴어 이론에 있어서 주디스 버틀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표적인 연구자인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연구성과를 내었다. 섹슈얼리티 연구가 이룬 성과 중 하나는, 우리들이 현재 생각하고 있는 섹슈얼리티란 근대의 섹슈얼리티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 그것은 조금이라도 보편적이거나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는 푸코의 지적을 받아들여 개별적인 시대와 장소에 있어서의 성의 문제는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역사적 조..
기호의 시스템 기호란 앞에서 본 것처럼 정신과 물질 사이에 자리 잡고 인간의 의미 활동을 성립시키는 영역인데, 소쉬르는 기호 전체는 고립된 하나하나의 기호가 집적되어 성립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기호란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말, 고양이, 너구리, 개, 원숭이, 호랑이 등의 동물에 대한 어휘를 생각해 보자면 그것들은 상호가 구별되면서 각각의 동물 이름이 성립되어 있다. '말'이라는 언어 기호는 '말'이라는 단어가 단독으로 성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호와의 연결성 속에서 또는 다른 기호와 상호 구별되면서 성립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호란 '차이의 시스템' 즉 기호 상호의 이질성의 시스템이자 상호 구별의 시스템에 의하여 성립한다..